2015. 8. 24.

가나다라




예상과 달리,
생긴 것과 달리,
하고 다니는 짓과 달리,

혼자 있는 시간을 매우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책도 읽고 싶고, 글도 쓰고 싶고, 회상도 하고 싶고,
그리움에도 젖고 싶고, 그러다 눈물로 베갯잇을 적시고도 싶으니까요.
(부끄럽지만 베갯잇은 사전 검색했습니다. 아, 근데 뭐, 부끄러워마세요. 얼토당토 않게 틀리는 것보다야 낫죠. 사전찾기의 생활화는 훨씬 유용하고 자랑스러워 할 일입니다.)


"쓴 걸 자꾸 고치지 말고 그냥 하얀 모니터 앞에 앉아야죠."
하루키 말고 작가가 글쓰기에 대해 이야기 하는 글이나 책을 읽은 적이 없어
하루키의 말을 인용합니다.
"(영감을 잃지 않고 글을 쓰기 위해서) 매일 같은 시각에 약 한 시간 책상에 앉아 글을 쓰면 어떨까요? 글이 쓰기 싫다면 그냥 앉아 있음 됩니다. 대신 책을 읽거나 SNS 금지. 지속성, 일관성이 영감의 비결이죠."

감흥이 일지 않으면 글을 잘 못쓰는 타입이라, 
생각해보면 그게 당연한 것 같은데,
어쨋든 그래서 오래 전부터 가나다라, 순으로 아무 단어나 생각나는대로 정해서 ㄱ부터 ㅎ까지, a부터 z까지 써보고 싶었어요.
거창하게 언제부터 언제까지 어떻게 하겠다는 말은 못하겠고, 그냥 초단편이라고 하면 좋겠네요.
지금까지 온통 다 저에 대한 혹은 제 주변 사람들에 대한 글이었다면
가나다라는 제 자신과 자의식에 대한 집착에서 해방되고자 하는 글쓰기의 일환으로 시작하려 합니다.

집에오다 말고 문득 (또) 마르크스가 한 말이 생각났습니다.
물질을 기반으로 사회 변동과 역사의 전환이 발생한다고 생각했던 마르크스는 모든 체제 혹은 존재는 그 안에 자기부정의 씨앗을 품고 있다고 했습니다. (음, 뭔가 다른 용어였던 것 같은데, 기억이 안 나네요...) 헤겔의 변증법에서 발전시킨 이야기인데, 언뜻 복잡하고 철학적이고, 무엇보다도 겁나 지루하게 들리겠지만 인간이란 본디 태생부터 죽음을 안고 태어난다는 점을 생각하면 꽤 단순하지만 강렬한 사상입니다. 강한 설득력을 가진 이론이나 사상이란 원래 단순하지만 심오한 법이죠. 여튼, 자기부정에서 출발하지만 나를 포기하지는 않는 길을 좀 찾아봐야 겠습니다.

학교 갈 준비를 해야지요.

:)

외면당해 외롭고 버려진 밤 같지만, 
어쩌겠습니까. 그냥 좀 울죠, 뭐.


오야스미나사이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