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6. 4.

The New York Times: Modern Love - Pt.2




이 꼭지는 사무실에서 처음 듣고 눈물이 차올라서 쪽팔렸고
(일단 사무실에서... 스마트 크루즈 시스템 번역하다 울 일은 없으니까...)
집에 오는 길에 다시 듣곤 흐엥, 하고 또 울어버린 꼭지입니다.



You May Want to Marry My Husband

by Amy Krouse Rosenthal

제 남편과 결혼하세요
에이미 크라우즈 로젠탈


I have been trying to write this for a while, but the morphine and lack of juicy cheeseburgers (what has it been now, five weeks without real food?) have drained my energy and interfered with whatever prose prowess remains. Additionally, the intermittent micronaps that keep whisking me away midsentence are clearly not propelling my work forward as quickly as I would like. But they are, admittedly, a bit of trippy fun.
이 글을 완성하려고 한참 애를 썼는데, 모르핀를 맞고 있는데다 한동안 끝내주는 치즈버거를 먹지 못하고 있어 (마지막으로 음식다운 음식을 먹어본 게 언제였던가? 한 5주 전?) 기운도 없고, 그나마 남아있는 창작 능력도 흐려지고 있다. 게다가 문장을 끝내기도 전에 자꾸 토막잠을 자고 있어 계획만큼 글이 빨리 써지지 않는다.  물론 낮잠은 늘 달콤하지만.
Still, I have to stick with it, because I’m facing a deadline, in this case, a pressing one. I need to say this (and say it right) while I have a) your attention, and b) a pulse.
그래도 마감이 코앞이라 글을 완성해야만 한다. 이번 원고는 특히나 급하다. 독자들이 내게 허락해준 시간이 다 가기 전에, 그리고 내게 주어진 시간이 다 하기 전에, 최대한 정확하게 적어야 하기 때문이다.
I have been married to the most extraordinary man for 26 years. I was planning on at least another 26 together.
나는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남자와 26년동안 부부로 살았다. 앞으로 적어도 26년은 더 그럴 작정이었다.
Want to hear a sick joke? A husband and wife walk into the emergency room in the late evening on Sept. 5, 2015. A few hours and tests later, the doctor clarifies that the unusual pain the wife is feeling on her right side isn’t the no-biggie appendicitis they suspected but rather ovarian cancer.
인생은 잔인한 농담같다. 왜냐고? 2015년 9월 5일. 한 부부가 늦은 밤 응급실로 걸어 들어간다. 몇시간에 걸친 검사들이 끝나자 의사는 아내가 느끼던 복통의 원인을 알려준다. 아내는 오른쪽 복부에서 극심한 통증을 느끼고 있었지만 부부는 맹장염처럼 대수롭지 않은 문제일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복통의 원인은 난소암이었다.
As the couple head home in the early morning of Sept. 6, somehow through the foggy shock of it all, they make the connection that today, the day they learned what had been festering, is also the day they would have officially kicked off their empty-nestering. The youngest of their three children had just left for college.
다음날 새벽, 부부는 집으로 돌아갔다. 충격적인 소식때문에 머릿속이 복잡했지만 그날은 부부에게 여러모로 의미있는 날이었다. 한껏 곪아있던 염증이 제 존재를 드러낸 날이기도 했지만 자식들이 모두 부모의 둥지를 떠난 날이기도 했다. 그날, 삼남매 중 막내가 대학 입학을 위해 학교 근처로 이사를 갔다. 
So many plans instantly went poof.
그 많던 계획이 순식간에 물거품이 되어버렸다.
No trip with my husband and parents to South Africa. No reason, now, to apply for the Harvard Loeb Fellowship. No dream tour of Asia with my mother. No writers’ residencies at those wonderful schools in India, Vancouver, Jakarta.
남편과 부모님을 모시고 남아프리카로 여행을 가려고 했었다. 하버드 대학 특별 연구원 자리에도 지원하려 했었다. 친정 엄마를 모시고 아시아 일주를 하겠다는 꿈도 있었다. 인도와 캐나다, 인도네시아의 훌륭한 작가 입주촌에도 들어가고 싶었다. 이젠 소용없는 일이지만.
No wonder the word cancer and cancel look so similar.
암(cancer)이 무효(cancel)라는 단어와 철자가 비슷한 데엔 다 이유가 있었다.
This is when we entered what I came to think of as Plan “Be,” existing only in the present. As for the future, allow me to introduce you to the gentleman of this article, Jason Brian Rosenthal.
우리는 플랜  "Be"를 실행해야 했다. 현재에 충실하기로 한 것이다. 그리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이 에세이의 주인공을 소개한다. 나의 남편, 제이슨 브라이언 로젠탈.
He is an easy man to fall in love with. I did it in one day.
제이슨은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사람이다. 나는 하루만에 제이슨과 사랑에 빠졌다.
Let me explain: My father’s best friend since summer camp, “Uncle” John, had known Jason and me separately our whole lives, but Jason and I had never met. I went to college out east and took my first job in California. When I moved back home to Chicago, John — who thought Jason and I were perfect for each other — set us up on a blind date.
내가 사랑에 빠지게 된 이유는 이렇다. 아빠의 절친한 친구이신 존 삼촌이 제이슨을 소개해주셨다. 존 삼촌은 우리를 어린 시절부터 지켜보신 분이셨지만 제이슨과 나는 서로의 존재에 대해 알지 못했다. 나는 동부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캘리포니아에서 첫 직장을 얻었다. 그리고 내가 고향인 시카고로 돌아왔을 때, 존 삼촌은 우리 둘이 잘 맞을 것이라고 생각하셨고, 소개팅을 주선해주셨다.
It was 1989. We were only 24. I had precisely zero expectations about this going anywhere. But when he knocked on the door of my little frame house, I thought, “Uh-oh, there is something highly likable about this person.”
1989년, 우리가 고작 스물넷 일 때 일이다. 나는 아무런 기대감이 없었다. 하지만 제이슨이 우리집 현관을 두드린 순간 난 깨달았다. "이 사람은 좋아할 수 밖에 없는 구석이 있구나."
By the end of dinner, I knew I wanted to marry him.
그날 저녁식사를 마칠 때즘, 나는 제이슨과 결혼해야 겠다고 결심했다.
Jason? He knew a year later.
제이슨은 거기까지 생각이 미치는 데 1년이 더 걸렸다.
I have never been on Tinder, Bumble or eHarmony, but I’m going to create a general profile for Jason right here, based on my experience of coexisting in the same house with him for, like, 9,490 days.
틴더나 범블, 이하모니 같은 소개팅 사이트에 가입해본 적은 없지만 여기에 제이슨에 관한 대략적인 프로필을 적어보려 한다. 약 9,490일 동안 한 지붕 아래서 그의 동거인으로 살며 느낀 점들을 기반으로 작성한 프로필이다.
First, the basics: He is 5-foot-10, 160 pounds, with salt-and-pepper hair and hazel eyes.
우선, 기본정보. 
키는 180cm. 몸무게는 80kg. 흰머리가 듬성 듬성 나 있으며 녹색이 살짝 섞인 갈색 눈동자를 가졌다.
The following list of attributes is in no particular order because everything feels important to me in some way.
다음에 나올 내용은 중요도에 따라 나열된 것이 아니다. 그에 관한 이야기는 나에게는 전부 특별하고 중요하니까.
He is a sharp dresser. Our young adult sons, Justin and Miles, often borrow his clothes. Those who know him — or just happen to glance down at the gap between his dress slacks and dress shoes — know that he has a flair for fabulous socks. He is fit and enjoys keeping in shape.
그는 패션감각이 뛰어나다. 장성한 아들 저스틴과 마일즈는 종종 제 아버지의 옷을 빌려 입는다. 그의 지인이든 아니든, 바짓단과 구두 사이로 보이는 제이슨의 양말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가 예쁜 양말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이슨은 늘 군살 없는 몸매를 유지한다.
If our home could speak, it would add that Jason is uncannily handy. On the subject of food — man, can he cook. After a long day, there is no sweeter joy than seeing him walk in the door, plop a grocery bag down on the counter, and woo me with olives and some yummy cheese he has procured before he gets to work on the evening’s meal.
우리집에게도 입이 있었다면 제이슨이 손재주가 뛰어난 사람이라고 첨언해줄 수 있을텐데. 음식에 관해서라면 긴 말이 필요 없다. 지친 하루를 보내고 집으로 돌아오면, 제이슨은 양손 가득 장바구니를 들고 들어와 싱크대 위에 내려놓은 뒤 미리 준비해둔 올리브와 치즈로 나를 감동시켰다. 그리고 곧장 저녁을 준비했다.
Jason loves listening to live music; it’s our favorite thing to do together. I should also add that our 19-year-old daughter, Paris, would rather go to a concert with him than anyone else.
제이슨은 라이브 음악을 좋아한다. 함께 라이브 음악을 감상하는 일은 우리가 가장 좋아했던 것들 중 하나였다. 열아홉인 막내딸 패리스는 콘서트에 갈 때면 그 누구보다 제 아빠와 가고 싶어했다. 
Jason paints. I love his artwork. I would call him an artist except for the law degree that keeps him at his downtown office most days from 9 to 5. Or at least it did before I got sick.
제이슨은 그림실력도 뛰어나다. 난 그가 그린 그림을 몹시 좋아한다. 법학과를 졸업했다는 이유로 하루 종일 사무실에 붙잡혀 있지만 않았더라면 나는 제이슨을 아티스트라고 불렀을 것이다. 물론 내가 아프고 난 뒤로는 더이상 사무실에 나갈 수 없게 됐지만. 
If you’re looking for a dreamy, let’s-go-for-it travel companion, Jason is your man. He also has an affinity for tiny things: taster spoons, little jars, a mini-sculpture of a couple sitting on a bench, which he presented to me as a reminder of how our family began.
낭만적이고 즉흥적인 여행 애호가를 찾고 있는 여성이라면 제이슨이 딱이다. 제이슨은 작고 귀여운 것도 좋아한다. 맛보기용 숟가락이라던지 조그마한 유리병, 벤치에 앉아있는 커플 조각상 같은 것들. '우리가 어떻게 한 가족이 되었는지 떠올랐다'며 내게 선물해 준 바로 그 조각상.
Here is the kind of man Jason is: He showed up at our first pregnancy ultrasound with flowers. This is a man who, because he is always up early, surprises me every Sunday morning by making some kind of oddball smiley face out of items near the coffeepot: a spoon, a mug, a banana.
제이슨은 내가 첫 아이를 임신했을 때, 초음파 검사실에 꽃을 들고 온 남자다. 일요일 아침마다 나보다 먼저 일어나 커피 머신 앞에다 숟가락이나 머그컵, 바나나 같은 것들로 웃는 얼굴을 그려놓고 나를 놀래켜주는 남자.
This is a man who emerges from the minimart or gas station and says, “Give me your palm.” And, voilà, a colorful gumball appears. 
구멍가게나 주유소를 들릴 땐 "손 내밀어 봐"라고 말하며 내 손바닥 위에 알록달록한 풍선검을 올려주는 남자. 
My guess is you know enough about him now. So let’s swipe right.
이만하면 제이슨에 대해 잘 알았으리라 믿는다. 그럼 수락 버튼*을 누르자.
(*틴더 어플에서 상대방의 프로필이 맘에 들었을 때 화면을 넘겨(swipe) 수락하는 것을 의미)
Wait. Did I mention that he is incredibly handsome? I’m going to miss looking at that face of his.
잠깐. 제이슨이 어마어마한 미남이란 말을 했던가? 이 잘생긴 얼굴이 그리울 것이다.
I want more time with Jason. I want more time with my children. I want more time sipping martinis at the Green Mill Jazz Club on Thursday nights. But that is not going to happen. I probably have only a few days left being a person on this planet. So why I am doing this?
제이슨과 더 함께 있고 싶다. 아이들과도 더 함께 하고 싶다. 목요일 밤마다 열리는 그린 밀 재즈 클럽 공연을 보며 마티니도 계속 마시고 싶다. 하지만 그럴 순 없을 것이다. 내게 남은 시간은 고작 며칠뿐일테니까. 그런데 왜 이 아까운 시간에 글을 쓰고 있느냐고?
I am wrapping this up on Valentine’s Day, and the most genuine, non-vase-oriented gift I can hope for is that the right person reads this, finds Jason, and another love story begins.
이 글을 마무리하고 있는 오늘은 발렌타인데이다. 이번 발렌타인데이에 내가 바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선물은 제이슨과 잘 어울리는 사람이 이 글을 읽고, 제이슨을 만나, 그와 또 다른 사랑을 시작하는 것이다.
I’ll leave this intentional empty space below as a way of giving you two the fresh start you deserve.
아직 여백이 많이 남았지만 이 페이지는 공백으로 남겨두고자 한다. 제이슨과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하게 될 당신을 위해서.

With all my love, 
Amy

내 남은 사랑을 모두 담아,
에이미.


+
또 울었음.

++
에이미 로젠탈은 이 글이 세상에 나온지 10일 뒤에 세상을 떠났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