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차통역을 할 때,
그러니까 발화자의 발언을 다 듣고 난 후 영어로 혹은 한국어로 옮기려고 할 때,
들으면서 외우다 중간에 '주옥같은' 표현이 생각날 수 있다.
'아, 이 표현은 이따 통역할 때 꼭 써야지.'
라고 하는 순간 통역은 망한 것과 다름없다.
들었던 말을 꼭 쥐고 놓치지 않는 힘, 즉 기억력을 뇌의 손이 가진 악력이라고 치자면 기억의 손으로 그 기막힌 단어를 붙들고 있는 동안 정작 들어야 할 내용은 죄다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간다.
글쓰기도 비슷한 것 같다.
어느날 문득 엄청 은유적인 것 같고, 라임도 있고, 재치도 있는 표현이 떠오른다.
이 단어를, 표현을 어떻게든 써먹어야 할 것 같아서 일단 막 적고 몇번 들여다보고 짠, 하고 내놓는 글들이 있다.
그런 건 나중에 한심스러워서 지운다.
1년 버티면 오래 버틴 거다.
주제에 영감을 받아서 쓰는 것과는 다르다.
corpus, 단어를 자랑하느라 급급해서 고심없이 써댄 글은 향락가의 화려한 네온사인처럼 단어와 수식이 화려하고, 화려할수록 초라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